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민속마을(중요민속자료 제236호)은 설화산 남서 자락 구릉지에 자리 잡은 전통 마을이다. 이곳에서 나고 자란 이규정(49세) 마을 대표는 과거 10년간 자영업을 하다 외환위기 때 부도 맞은 적이 있다. 잘 지내던 거래처 사람들도 모두 그에게 등돌려 어디라도 숨고 싶은 심정이었을 때 그를 안아주는 이는 마을 사람들뿐이었다. 늘 곁에 있어 고마운 그들을 위해 이 대표가 할 수 있는 일은 지금 그가 하고 있는 일이다.
글 박지혜 기자 사진 고경수 기자 취재협조 외암민속마을 041-541-0848 www.oeammaul.co.kr
올해 경주 양동마을과 하동 하회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는 호사好事에 이어 충남 아산시에서는 아산시 소재 외암민속마을의 세계유산 등재 관련 논의가 있었다. 외암마을은 지난해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신규 등록됐다. 국내외 문화재, 건축사 관련 인사들이 발제를 맡은 가운데 외암마을의 풍수지리학 상 우수성과 500년 전 조선시대 가옥과 문화가 고스란히 유지돼 왔다는 점 등을 들어 외암마을의 세계유산 등재에 지지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자리에 외암마을 53가구 주민들은 없었다.
심포지엄 장소를 나와 찾아간 외암마을엔 이규정 마을 대표가 사무를 보느라 분주한 분위기였다. 이대표는 일부러 심포지엄 자리에 나가지 않았다. 행사를 주관한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의 초청을 받았음에도 그냥 넘겼다. " 당사자인 주민들을 소외시키고 공무원들 말잔치에 속 터져 방청석에 못 앉아 있을 것 같아 나가지 않았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연거푸 말했다. "외부에선 우리 마을을 두고 유네스코 등재한다 말이 많은데 정작 마을 주민들은 그런 사실조차 모르고 있습니다. 어르신들은 유네스코란 말조차 모르는 분이 많아요. 주체인 마을 주민들에 대한 배려가 먼저 있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분명 외암마을 주민뿐 아니라 범국민적 경사이나 마을 주민 입장에서 보면 차라리 등재 안 되는 게 낫다는 말도 나온다. 외암마을은 마을 내 고택인 참판댁과 건재고택이 중요민속자료(각 제195호 제233호)로 지정된 후 2000년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됐다. 민속마을 지정 후 주민들은 각종 행위제한과 가옥의 원형 보존에 발이 묶여 편리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됐다. 무엇보다 이 대표가 가장 심각하게 여기는 부분은 마을 내 상행위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농가소득을 올리는 방법은 외암마을에서 생산한 농산물 가공품을 방문객 등에게 판매, 유통시키는 것인데 문화재청에선 이를 허용치 않고 있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제재가 더 강화됐으면 됐지 더 약화되지는 않을 것이란 평범한 논리에서 이 대표는 마을 경제와 주민들의 권익을 염려하는 것이다.
'1가구 1일거리'로 살고 싶고 가꾸고 싶은 마을로
평일 휴일 할 것 없이 외암마을은 방문객이 줄을 잇는다. 체험학습 나온 어린이와 학생들은 연중끊이지 않는 고정 방문객이고, 그 외 맑은 공기 쐬러 나온 나들이객, 농촌체험마을 운영을 벤치마킹하려는 다른 지역민들… 외암마을은 단순히 역사 속에 갇힌 민속마을이라는 정체성을 뛰어넘어 농촌체험마을 운영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소통시킨다. 기와와 초가가 어우러지고 집집마다 어김없이 둘려진 어깨높이의 돌담장이 고불고불 정겨운 골목을 만들어 놓았다. 마을 둘레와 마을 안을 휘휘 도는 물길은 흙과 돌, 나무로 이뤄진 마을에 유柔한 기운을 불어넣고 깃들어 사는 사람 마음까지 촉촉이 적신다. 마치 역사 속으로 들어온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마을은 현대 마을에선 결코 느낄 수 없는 안온함 그 자체다. 구경꾼들은 마을을 돌다가 다리 아프면 아름드리 느티나무 아래 벤치에 쉬어 가기도 하고 아예 원두막 그늘에 대大자로 누웠는데 외암마을이기에 나올 수 있는 자연스런 풍경이다. 이처럼 외암마을에 방문객이 많아진 것은 10여 년 전 농촌체험마을을 시작하면서부터다. 당시 불씨를 지핀 것은 이규정 대표였다. "2001년부터 민박 사업을 시작했는데 당시 전통한옥을 체험한다는 의미에서 재래 부엌과 화장실을 그대로 제공했습니다. 아궁이 불도 직접 때게 했고요. 그랬더니 그 소문이 퍼져 쇄도하던 예약이 뚝 끊기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아무리 전통 체험이 좋아도 불편한 것은 인기가 없었던 거지요. 해서 외형은 원형 그대로 보존해야 하지만 내부는 개조 가능하기에 2003년 민박을 현대식으로 개조했습니다."
그 후 10여 가구에서 운영하는 민박은 문지방이 닳도록 많은 이가 다녀갔고 떡메치기, 솟대 만들기, 두부 만들기를 비롯한 다양한 민속 체험과 전통음식 만들기 체험, 농장 체험 프로그램을 개설해 방문객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체험마을 운영초창기에는 주민들과의 갈등도 많았단다. '마을 방문객이 많은 것 같던데 수익이 이것밖에 안 나왔나'하고 불신이 있었던 것. 그 해결방법으로 이 대표는 주민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현재 53가구 중 37가구가 체험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데 주민 화합이라는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이 대표가 마을 내 농산품 가공 생산을 계획하게 된 것도 이곳에서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농산물로 하는 장 만들기 체험을 해본 방문객들이 왜 병에 넣어 판매하지 않느냐는 요청이 많았던 것. 현재 문화재보호법으로 민속마을 내 영업행위가 금지돼 있지만 이 대표는 마을 외관을 해치지 않은 선에서 전통한옥 외형에 최신설비를 들인 가공공장 설립을 구상 중으로 이를 건의해볼 계획이다. "마을이 잘 유지되려면 우선 주민들이 살고 싶은 마을이 돼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경제적으로 윤택한 마을이 돼야 합니다. 해서 2015년까지 '1가구 1일거리'를 만들자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습니다. 가정 경제가 나아지면 문화재청에서 당부하지 않더라도 주민 스스로 마을을 가꾸고 보존하려는 의지가 높아지는 건 당연지사입니다."
*
10여 년 전 이 대표가 농촌체험마을을 시행한다 했을 때 정부 사람들은 달갑지않게 여겼다 한다. 문화재 훼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체험마을 프로그램을 적극 권하는 상반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동안 체험마을 프로그램을 통해 민속마을 홍보가 활발히 이뤄졌고 국민들의 민속마을 보존 가치에 대한 인지도 상승 등 긍정적 효과를 얻었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문화재보호법은 문화재 관리 위주의 법으로 '우리'를 보호하는 내용은 없다며 한숨 내쉰다. 문화재 속에 오랜 세월 깃들어 살아온 주인인, 주민들의 행복을 보장해주는 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세계문화유산 등재 논의도 주민에 대한 예의를 갖춘 후 진행돼야 옳다고 말한다. 그럴 때 주민들도 적극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이곳은 어릴 적이나 지금이나 변한 게 없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좀 변했어요. 농업이 인기 없어지고 산업화되면서 마을 사람들도 인심이 팍팍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살기 어려워져서 그러지요. 농지라 해봐야 크지 않고 품 팔아 사는 형편들이라 가난을 면치 못합니다. 그나마 매해 35만 명 정도 손님이 들어 일부 농가 소득으로 돌아가니 형편이 풀리는 가구도 있습니다." 이 대표는 5대째 외암마을을 지키며 살고 있다. 과거에는 대소가大小家를 이루며 살았는데 지금은 두 가구 남았다. 집안 행사가 있는 날이면 어린 이규정은 "오늘 저희 집으로 식사하러 오세요"하며 돌담길을 한 바퀴를 돌았다. 정겨웠다. 그런 과거 어느 시점의 마을 풍경이 되살아났으면 하는 꿈도 꾸어본다. 온갖 시름이 씻기고 마음이 차분해지는 외암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고 나오는 길, 한 집 처마 밑에 걸린 '식혜₩1,000'표지판이 쓸쓸해 보이는 건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