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잘나가던 마케터가 제주로 내려가 농산품 마케팅 영역에 닻을 내렸다. 기대와 달리 변화무쌍한 제주 기후환경에 적응하랴 제주농부들의 한숨 섞인 농사 이야기에 적응하랴 그 앞에 펼쳐진 새로운 환경에 시간이 어떻게 흘렀는지 모른다. 그는 자연과 사람을 존중하며 유기농업을 고집하는 '착한 농부'들이 더욱 부강해지는 미래를 마케팅하고 있다. 글 박지혜 기자 사진 황예함 기자 취재협조 제주파파 070-8682-6677 www.jejupapa.com
잘나가던 인터넷 포털 서비스 마케터였던 김기덕(36세)씨는 10년간 직장생활한 후 내 사업을 하겠다던 스스로의 다짐을 지키기 위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내려간 곳이 제주다. 그저 환상의 섬, 낙원 정도로 알고 살림 보따리를 챙겨 온 외지인을 향해 원주민들은 말한다. 한번 발붙이고 살아보지 않았다면 제주에 대해 말하지 말라. 제주는 기대만큼 환상적이고 포근하게 감싸주는 곳만은 아니다. 김기덕 씨 또한 그렇게 말한다. 사람 사는 데는 어디나 비슷하다는 진리가 이곳만을 비켜갈 수 없다. 다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고 세계7대 자연경관에 선정된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다는 사실은 그 누구도 거역할 수 없는 제주의 묘미고 이곳에 안착하게 만드는 요소다. 서귀포시 호근동 김기덕 씨가 차린 카페 세븐바스켓은 최근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던 강정마을 인근, 기암절벽 22m 길이로 떨어져 진경을 이루는 천지연폭포와 소나무가 자생하는 작은 바위섬 외돌개 가는 길에 있다. 편백나무로 꾸며진 카페에서 구수한 커피를 내리는 그의 모습을 보면 손님들에게 커피를 내주며, 좋아하는 낚시도 원 없이 하면서 여유로운 생활을 하는 사람쯤으로 일단락된다. 그러나 이 카페에서 감귤 농부의 유기농업과 유통 이야기, 제주의 1차 산업을 부흥시켜 보자는 의기투합 등 열정적이고 긴장된 순간도 있음을 알게 되면 김기덕 씨가 도대체 뭐하는 사람인지 궁금해진다.
생산자는 잘살고, 소비자에겐 깨끗한 먹을거리를 그의 직업은 여전히 마케터다. 제주의 1차 산업을 바탕으로 컨버전스 마케팅Convergence Marketing을 목적으로 이곳에 내려왔다. 그 출발은 이랬다. 평소 집에서 '밥 짓는 아빠'인 그는 마트에서 장을 볼 때마다 농산물을 관심있게 지켜봤다. "농산품은 성공적인 브랜드를 가진 경우가 드물었어요. 내눈에 들어오는 것은 기껏 어느 지역 쌀, 무슨 복숭아 정도였어요. 마케터인 나는 속으로 농산품 마케팅에 참견하기 시작했지요. 마케팅을 잘하면 얼마든지 1차 산업도 잘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는 때마침 인터넷이 만드는 가상의 공간을 벗어나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질을 마케팅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던 차였다. 자연 속에서 느긋하게 살며 농산품 마케팅을 하기에 최적지로 제주를 낙점했다. 제주는 관광자원과 더불어 농 · 임 · 수산 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컨버전스 마케팅을 펼치기에 가히 매력적이었다. "처음 1년간은 빈둥거리며 사업 방향을 잡기 위해 1차 산업 종사자들을 인터뷰하고 지역민들과 접촉했어요. 그리고 폐쇄적인 사무실에서 사람을 만나는 것보다 개방적인 카페가 좋을 것 같아 카페를 차렸고요."
그는 제주 농산업을 파악하기 위해 100명이 넘는 농부를 만났다. 80%가 감귤농사를 짓는 이었고 그 외 제주 주요 밭작물인 브로콜리, 당근, 감자, 양배추, 무, 양파 등 생산자였다. 일반 농산품에 비해 친환경 유기농산품이 가격결정력이 있고 고부가가치로 인정받으나 마케터의 눈에는 유통이 걸림돌이었다. "판로를 개척하고 더욱 높은 가격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차원을 넘어 생산물의 가치 재창조를 모색하기 시작했어요. 그 첫 번째 사업으로 '제주파파'라는 사업자명을 만들고 유기농 잼을 론칭했고요." 감귤과 키위 생산자 중에서도 오랜 기간 친환경 유기농법을 고집하며 환경과 사람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한다는 철학으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을 만나 사업 제휴를 맺었다. 그는 '아빠의 마음으로 좋은 먹을거리를 내놓겠다'는 취지를 담은 '제주파파'답게 깨끗한 유기농 과일을 원료로 다른 첨가제 없이 무정제 유기농 설탕만 넣고 졸여 수제 잼을 만들었다. 잼을 담는 유리병 또한 국내산 제품으로 꼼꼼하게 선정했다.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정성을 담아 이뤄지므로 연간 생산량 1만 병에 그친다. 내년부터 인력을 충원해 2만 병 생산을 유지할 계획이며 수요가 늘어도 기계 · 대량 생산은 하지 않을 계획이다. 기계 생산을 하면 '제주파파 잼'에 담긴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는 앞으로 가공식품 생산 외에도 무항생제 · 방목으로 키워내는 유기축산의 메카 제주의 축산품 마케팅, 암 환자 등 건강식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국 가정에 영양식을 배달하는 등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제주파파의 마케팅 원칙이 있다. 1차 산업 종사자들이 잘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생산물로부터 발생한 이득을 관계자들이 공정하게 나누고 공유하도록 한다. 이런 까닭에 기존의 두 배 이상 가격으로 농산물을 수매하는 것도 그에겐 당연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