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과월호 > 2007년 11월호

2007년 11월호(통권 104호)
2008-4
2008-3
2008-2
2008-1
2007-12
2007-11
2007-10
2007-9
2007-8
2007-7
2007-6
2007-5
2025202420232022202120202019201820172016
2015201420132012201120102009200820072006
2005200420032002200120001999
황토
 
[고택을 찾아서] 화서학파의 산실 양평 이항로李恒老 생가   2007-11-29
이항로 선생 고택은 선생의 아버지 대에 지은 집으로 200여 년이 됐으며, 선생이 태어나서 일생을 보낸 곳으로 최익현·홍재학 등 많은 선비들이 선생의 가르침을 받던 곳이다. 이항로 선생은 순종 8년(1808)에 과거...
목조/통나무
 
[효성으로 지은 집] 삶의 향기 그윽한 용인161.7㎡ 복층 경량 목구조 황토집   2007-11-28
수도권에서 전원주택 입지 선호도가 높은 지역은 용인이다. 쾌적한 주거 환경과 자연 경관을 갖춘 데다 중부, 영동, 경부고속도로와 신갈-안산 외곽순환도로 등 고속도로 진입이 쉬운 교통의 요충지로 우리나라에서 ...
 
[단지에 지은 집] 수공식 통나무와 경량 목구조의 어울림, 천안통나무 전원주택 단지   2007-11-28
전원주택은 개발 방식에 따라 동호인 단지형, 지주 공동 개발형, 단독 개발형, 택지 분양형 등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이상적인 형태는 가까운 사람끼리 동호인을 조직해 부지를 공동 매입하고 가분할해 개개인의 ...
 
[실속 있는 집] 세월이 흐를수록 멋스러운 집, 광주 181.5㎡ 복층 목조주택   2007-11-28
캐나다 경량 목구조 방식을 국내에 보급하는 올림픽우드에서 경기도 광주에 골조 및 외관뿐만 아니라 실내도 캐나다 정통 디자인을 적용해 입체적이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주택을 완성했다. 새집증후군과 환경을 고려...
 
[운치 있는 집] 단란한 세 식구 행복의 초석 양평 181.5㎡ 복층 목조주택   2007-11-28
주5일 근무제 시행으로 주말에 조금 여유가 생긴 직장인들. 종종 주말에 가족 나들이를 기대하는 자녀들과 ‘이번 주말엔 어디에 갈까’ 고민하는 직장인들을 보곤 한다. 하지만 강경훈(45)·구자역(44) 부부는 이런...
철근콘크리트
 
[풍광 좋은 집] 나무랄 데 없는 터에 지은 여주 복층 경량철골조 주택   2007-11-28
사방이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데다 지대가 높아 시야를 가리는 장막도 없고 해가 정면으로 들이치는 터다. 굽이굽이 난 작은 도로가 발 밑을 훑고 옆으로 흐르는 계곡물소리가 경쾌하니 이보다 좋은 터가 또 있을까 ...
건축정보
 
인기 치솟는 보조난방   2007-11-28
고유가, 심야전력 요금 상승, 지구 온난화 등으로 보조난방이 인기다. 보일러 작동을 멈춰놓는 시간만큼이나 절약되는 난방비는 곧 그만큼의 보조난방 수요 증가를 가져왔다. 자주 이용하지 않는 공간은 난방필름이나...
 
[전원주택 짓기 A TO Z II] 주택 건축 공정 관리, 구조 공사-목구조   2007-11-29
목구조란 기둥, 보, 내력벽, 서까래, 장선 등의 주요 구조부를 목재로 짠 가구식 구조를 말한다. 적용 목재는 해당 부재의 구조 등급에 적합한 규격의 단면 형상을 지닌 건조 구조목재이다. 또한 구조적 성능을 확보...
 
[목조주택 교실] 목조주택 마무리   2007-11-29
처마 물받이와 선홈통캐나다에서는 처마 물받이와 선홈통(빗물을 내리기 위하여 지붕에서 땅바닥까지 수직으로 댄 홈통)을 많이 사용하므로 사람들 대부분은 이 설비를 법 규정에 따라서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뉴스포커스] 2007 전원 생활 엑스포   2007-11-29
‘2007 전원생활 엑스포’가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경기도 안사시 사동의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내 전원마을 주택전시관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관람객에게서 전원생활 및 전원마을에 대한 정책을 더 체계화...
 
[자재정보] 라이스콜-파이어글로벌, 연료비는 낮추고 열효율은 높이고   2007-11-29
겨울을 앞두고 난방비가 조금이라도 덜 드는 제품들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연료 소비량은 적으면서 열효율은 높은 제품들이 소비자에게 각광을 받는데, 이는 전원주택에서도 예외가 아니다.글홍정기 기자취재협조...
 
[전원부동산 투자 가이드] 규제로 보는 투자성과 투자 유의점   2007-11-29
개발 재료와 투자 여건이 높은 지역이라도 각종 제도와 관련 규제를 살펴서 투자해야 한다. 토지이용법상 토지 개발 가능 범위의 도시지역이란, 땅을 도시의 용도로 사용하려고 지정한 구역을 말한다. 도시지역은 땅...
설계도면
 
[최길찬의 전원주택 설계 노트 10]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2007-11-29
30년 이상을 함께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가족 구성원에 변화가 생긴다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1999년 어느 날 건축주는 잠을 자다가 뭔가 느낌이 이상해서 새벽 5시가 채 되기도 전에 깨어났다. 흐릿한 눈동자로...
펜션
 
[펜션 이야기] 서해 갯벌과 낙조를 품에 안은 강화 플로망스 펜션   2007-11-29
수도권에서 산과 바다를 쉽게 접하고 문화 유적지가 산재한 강화도는 펜션 열기가 식을 줄 모른다. 제법 쌀쌀한 기운이 느껴지는 비성수기인 이 계절에도 주말에 예약하지 않으면 펜션을 이용하기 어려울 정도다. 그...
인테리어
 
[INTERIOR] 우리집 인테리어 페인팅으로 완성하기, 냄새없이 간편하게 하루만에 뚝딱!   2007-11-28
'D.I.Y.족' 사이에서 최근 인기 아이템을 꼽자면 페인트를 빼놓을 수 없다. 인테리어 마감재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손쉽게 눈에 띄는 효과를 얻는 것도 바로 페인트인데 요즘에는 베이스 실러(언더코팅, ...
D.I.Y
 
[HAPPY D.I.Y. LIFE] 신나는 낙서놀이 '칠판' 만들기 Blackboard   2007-11-29
분필로 '떠든 아이' 누구누구라고 쓰던 추억의 칠판〔黑板〕이 돌아왔다. 휘발성 잉크를 넣은 용기에 펠트를 심心으로 꽂아 쓰는 필기구인 펠트펜(Felt Pen)을 사용하는 화이트보드에 밀려 사라지더니 리폼 열풍과 함...
정원가꾸기
 
[Home & Garden(1)] 겨울 걱정 없는 사시사철 푸른 온실   2007-11-28
봄부터 가을까지 별 탈 없이 잘 자라던 화초들이 긴장하는 추운 겨울이 다가왔다. 그렇다고 야외에서 키우던 분재를 모두 집 안으로 들이기도 쉽지 않은 일. 그 해결책으로 온실을 만들면 어떨까. 정원에 직접 만들 ...
 
[Home & Garden(2)] 병충해로부터 SOS! 건강한 화초로 거듭나기   2007-11-28
화초들 틈에서 정체 불명의 벌레 발견! 어찌나 빠른지 잡히지도 않는다. 속을 끓이다 보면 어느새 해충으로부터 초토화되고 만다. 어디 해충뿐인가. 지난 여름 장마와 관리 소홀로 곰팡이나 바이러스에 걸려 시름시름...
특집/기타
 
태양광, 태양열 시대가 밝았다   2007-11-28
지붕에 태양광 집열판을 단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고유가와 지속적인 심야전력 요금 인상으로 말미암아 일부 영역에 국한되던 태양광 발전이 주택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됐는데 특히 전원주택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
 
다시 불붙는 전통난방, 구들   2007-11-28
지리산 칠불사 아자방亞字房 구들은 한 번 불을 때면 그 온기가 무려 100일 간다고 하는데 첨단 시설로 중무장한 현대인의 주거 환경에서도 여전히 구들의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그만큼 유구한 세월에도 흔들림 없...
 
구들장 밑에 흐르는 수극화水克火의 이치   2007-11-28
구들의 독특한 구조는 가능한 높은 열기가 내부에 오래 머물도록 돼 있다. 여기에서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 유체는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은 증가하고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넓은 통로를 흐를 ...
 
비상등 켜진 심야전기보일러 대안을 찾아라   2007-11-28
겨울을 앞두고 전원주택 생활자에게 전혀 반갑지 않은 이야기가 들린다.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고유가 행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전력공사에서 수요자 증가를 이유로 심야전기 요금을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과월호 보기:
최근 많이 본 기사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2025...
정화조 종류와 오수 처리 시...
[이달의 주제] 풍경을 담은,...
[Materal Guide] 데크의 화려...
대자연의 강렬한 생명력이 살...
[광교 목조주택] 담과 가벽이...
[충주 목조주택] 아이 사랑으...
[5월호 특집] 제2의 숲, 중목...
실면적보다 훨씬 넓어 보이는...
【EXPERT COLUMN】 일조권·...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