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게시판 > 전원컬럼
글번호 175 (6270) 작성자 전우문화사 날짜 2006-09-29 조회수 2379
제 목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5)] 둥지

산골에 황토집을 지으면서 여유 있는 터에 두 평이 되는 정자를 앉혔다. 정자 마루 하방에 흙돌담을 둘러쌓은 것은 황토집에 어울리는 맵시를 갖추기 위함도 있었지만 마루 아래를 창고로 쓰기 위한 의도에서였다. 집을 짓고 남은 자재와 연장들을 넣어 두기에 좋았다. 입구가 있는 반대편에 파이프로 공기통을 만들어 그물마개를 끼워 두었는데 그물마개는 땅에 떨어져 버렸고 나는 그대로 방치해 두고 있었다.

뜰의 나뭇가지에 부쩍 늘어난 새들이 교태롭게 지저귀던 이른 봄, 새 한 마리가 그곳을 기웃거렸다. 포르르 자리를 옮겨가며 들여다보고 주위 살피기를 계속하더니 이튿날은 짝까지 데리고 와서 살폈다. 분명 둥지 터를 찾고 있었다.

'그래, 어서 집을 지어라. 방해하지 않을 테니'

서재 유리창으로 훤히 내다보며 새의 동작이 어찌나 귀여운지 마음이 무척 즐거웠다. 밖에서는 안이 잘 드러나 보이지 않는 색유리라 새는 주위의 조용함에 안심하고 살피는 눈치였다. 배와 꼬리가 진한 황토 빛을 띠고 회색 날개에 흰점이 보이는 새를 나는 우리 황토집에 걸맞게 '황토새'라고 이름을 지어 주었다. 제비만한 크기에 날씬한 몸매가 아름다웠다.

셋째 날, 혼자 찾아든 황토새는 한참을 기웃거리더니 파이프 안으로 날아들어 갔다. 지름이 불과 10센티미터인 둥근 공간에서 몸을 움츠리고 앉아 안을 살피고 밖을 내다보기를 여러 차례 반복하더니 어딘가로 날아갔다. 그러고는 이튿날도 그 다음날도 그곳에 찾아들지 않았다. 땅 높이와 가까운 곳인데다 바람이 불면 비가 뿌려 칠 것을 염려했던 터라 더 안전한 곳을 택했을 거라는 생각에 서운했지만 안심을 하며 잊고 지냈다.

그후 몇 날이나 지났을까. 안채 모퉁이 처마 아래 상인방 편편한 목재 위로 날아드는 황토새를 보았다. 지푸라기 새집이 보일 듯 말듯 은밀한 곳이다. 세상에, 새는 완벽하게 안전한 곳에 둥지를 튼 것이다.

장마가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다. 어느 해보다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며 인간을 위협한다. 폭염과 폭우로 해마다 이상기온이 계속되는 것은 지구 온난화 현상이라는 전문가의 견해를 들으며 엄청난 수해는 인간 스스로가 초래한 자업자득이 아닌가 돌아본다.

산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우리집 도랑에서 넘쳐난다. 콸콸 흘러내리는 물줄기가 꺾어 도는 정자 옆 감나무가 서 있는 언덕으로 폭포처럼 쏟아져 내려 마당을 덮친다. 언뜻 먼 태곳적 이야기 한 자락을 떠올리며 삽과 괭이를 들고 얼른 뒷밭으로 올랐다.

중국 하왕조 때의 우禹임금은 아버지 곤이 실패한 치수공사를 성공시켜 임금이 되었다. 강의 하류에서 둑만 쌓아 장마가 질 때마다 홍수를 거듭하는 아버지의 실패를 보고 강의 근원을 찾아 올라가 물길을 사방으로 흩어지게 하여 나라를 구했다. 그 업적으로 임금이 될 수 있었으니 물길을 다스릴 줄 아는 지혜는 능히 나라를 다스릴 줄 앎이다.

넘쳐나는 도랑의 둑을 손보지 않고 재빨리 뒷밭으로 오른 나도 물길을 갈라놓았다. 괭이와 삽으로 흙을 떠내어 둑을 만들어 놓은 물길을 따라 빗물이 갈라졌다. 언덕을 넘쳐흐르던 빗물은 순하게 도랑을 따라 흐르고 대신 대문 앞 시멘트로 포장된 길을 따라 많은 빗물이 흘러내렸다. 안전한 우리 집을 바라보며 스스로가 대견스러워 으슥해지는 기분이다.

"이만하면 나도 주인 몫을 잘 한 거지!"

내 말에 빙긋이 웃어주며 고마워하는 우리 집을 세밀히 보살핀다.
산길이든 마을길이든 애초에 길은 대부분 물길을 따라 만들어진다. 비 내리는 날 산을 오르면 모든 등산로가 물길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된다. 하나의 나무가 가지를 이루고 서 있는 형상이 산의 물길이다. 끊기거나 얽혀 있지 않은 질서를 이루고 있다. 계곡을 건너 다시 길이 이어지는 원리가 그런 연유에서이며 작은 골은 큰 계곡으로 이어지며 하나의 계곡은 두 능선을 가른다.

처음 집터를 보러왔을 때 뒷산의 지형을 살피며 마을 어른들에게 안전함을 물어보고 집 둘레의 물길을 둘러보며, 둥지를 짓기 위해 우리집을 찾아든 황토새의 살핌만큼이나 신경을 썼다. 본채를 앉힐 터의 뒤 언덕에 이중으로 돌을 쌓아 여유를 둔 것도 넓은 마당을 갖겠다는 욕심보다 안전을 염두에 두었다.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져 마을이 휩쓸리고, 사람이 실종되고, 언덕이 무너져 전원주택이 상하는 광경을 TV로 보며 저 일을 어찌하나 싶어 안타까운 심정이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는 더욱 심할 것이며 폭우로 인한 수해는 증가할 지도 모른다. 전망이 좋고 물이 좋은 산기슭이나 강가에 전원주택지를 택할 때 더욱 폭우에 대비한 안전에 유의해야 할 일이다.

유난히 새가 많이 날아드는 우리 집 감나무엔 오늘 새벽에도 새들의 연주회가 이어졌다. 산골생활에서 누리는 즐거움 중에 하나가 이른 아침에 듣는 새소리다. 각양각색의 새소리가 합주가 되어 잠을 깨운다. 요즘 가장 맑고 곱게 들리는 새소리는 분명 우리 집에 둥지를 튼 황토새 새끼들의 지저귐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살아남은 것은 아름답다.田


장문자<수필가〉

트윗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 글 목록 ]
등록 게시글 수:  252
번호 제 목 날짜 조회
177 [전원일기] '팽개치기' 한번 해보실래요? 2006-10-28 3195
176 [전원주택 에세이-여덟 번째 이야기]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2006-09-29 2906
▶▶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5)] 둥지 2006-09-29 2380
174 [전원일기] 신선하고 발칙한 상상이 있는 와불臥佛 보러 오세요-가을로 떠나는 여행 2006-09-28 2980
173 [전원주택 에세이-일곱번째 이야기] D.I.Y로 인생을 즐겨라  2006-08-29 2872
172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4)] 황토집에 찾아든 여름 소리 2006-08-29 2658
171 [전원일기] 한국 사촌 vs 중국 사촌의 노래방 열전 2006-08-28 2746
170 [전원주택 에세이] 전원주택과 애완견 진돗개와 함께 운동을...  2006-07-29 3529
169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3] 그 집 2006-07-29 4039
168 [건강산책] 한방과 먹을거리V 토(土)의 식품 설탕 2006-07-27 2900
167 [전원일기] 드디어 '맥가이버 우체부'의 혜택을 보다 2006-07-27 2643
166 [전원주택 에세이] 전원주택과 닭-닭과 병아리를 기르는 즐거움  2006-06-28 4439
165 [전원에서 글밭을 일구며2] 똥과 땅 2006-06-28 3581
164 [전원일기] 시골살이의 중심 '고사리 초무침, 머위 쌈밥' 2006-06-28 3749
163 [전원주택 에세이] 내 집은 이렇게 짓자  2006-05-28 2835
1 2 3 4 5 6 7 8 9 10 11~17 >
검색 :  
전원뉴스
Q&A
구인/구직
취재요청
전원컬럼
전원주택아카데미
최근 많이 본 기사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2025...
[몸에 꼭 맞는 집 짓기 129번...
정화조 종류와 오수 처리 시...
[수원 목조주택] 자연의 멋과...
[SPECIAL FEATURE] 노출콘크...
실면적보다 훨씬 넓어 보이는...
[Materal Guide] 데크의 화려...
[광교 목조주택] 담과 가벽이...
【ARCHITECTURE DESIGN】 독...
【22년 09월 특집 1】 전원...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