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RNITURE]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 기능이 다양한 붙박이장 & 주방가구 겸 도어
2019년 4월호
지면발행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기능이 다양한 붙박이장 & 주방가구 겸 도어맞춤가구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의 아이디어를 접목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이고 매력이다. 이번 호는 공간 특성에 따라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해 가구를 제작한 곳을 소개한다. 주거 공간에서 서로 다른 실을 연결하는 붙박이장, 주방과 다른 공간을 연결하는 가구...
[MATERIAL GUIDE] 벽돌로 만드는 공간 예술, 져스틴블럭
2019년 4월호
지면발행
벽돌로 만드는 공간 예술, 져스틴블럭거리를 거닐다 보면 대형 빌딩부터 동네의 작은 카페까지 심심찮게 디자인 블록을 사용한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이 눈에 띈다. 도시적인 분위기를 내면서 실용성도 높다는 이유로 블록에 대한 관심이 많다. 그 중에 구멍이 송송 뚫린 디자인 블록이 인기다. 가운데 구멍이 뚫린 디자인 블록은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쓰임새를...
[STYLING INTERIOR] 웨인스코팅 스타일로 고급스러움을 더한 순천 주택 인테리어
2019년 3월호
지면발행
웨인스코팅 스타일로 고급스러움을 더한 순천 주택 인테리어야트막한 언덕에 위치한 순천 주택. 과하지 않은 웨인스코팅Wainscoting스타일을 적용해 공간에 입체감을 주고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거실 아트월에 천연 석재를 붙여 높은 층고를 극대화하고, 실별로 벽지, 페인트, 타일 등 다른 마감재를 함께 사용해 생동감을 줬다. ※ 웨인스코팅: 17세기 유럽에서 비롯...
[ARCHITECTURE DESIGN] 골목집
2019년 3월호
지면발행
골목집1층 공간2층 공간지하 공간PLANNING침실 2개화장실 2개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HOUSE PLAN건축면적 39.96㎡(12.08평)연면적 88.89㎡(26.88평)최고높이 6.5m(가중평균 지표면 기준)공법 기초, 지하 - 철근콘크리트 매트 기초 지상 - 중목구조지붕재 컬러 강판...
[ARCHITECTURE DESIGN] 단순하지만 규모감 있는 56평형 CASA
2019년 3월호
지면발행
단순하지만 규모감 있는56평형 CASA자료협조㈜로하스홈전체 콘셉트이탈리아어로 주거, 주택, 저택이란 뜻의 CASA는 단순하지만 규모감 있는 형태를 제시한 주택이다.HOUSE NOTEDATA건축구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167.57㎡(50.68평) 연면적 186.64㎡(56.45평) 1층 100.31㎡(30.34평) 2층 86.33㎡(26.11평) ...
[FURNITURE]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 맞춤가구전시장에서 엿보는 다양한 아이디어
2019년 3월호
지면발행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맞춤가구전시장에서 엿보는 다양한 아이디어잘 계획하고 시공한 주택이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가구의 종류와 디자인, 배치 등이 각 공간에 적절하지 않다면, 그 공간 안에서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기 어렵다. 가구는 주택과 거주자 사이에서 안락한 주거생활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주거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나만의 개...
[ARCHITECTURE DESIGN] 두 세대 독립 거주 가능한 71평형 주택
2019년 2월호
지면발행
두 세대 독립 거주 가능한 71평형 주택자료협조㈜로하스홈HOUSE NOTEDATA건축구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127.19㎡(38.47평)연면적 234.98㎡(71.08평) 1층 127.17㎡(38.46평) 2층 107.81㎡(32.61평) 포치 12.90㎡(3.90평) 데크 12.50㎡(3.78평) 발코니 12.90㎡(3.90평)설계&...
[FURNITURE]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 주방 기능을 다양하게, 아일랜드 조리대
2019년 2월호
지면발행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주방 기능을 다양하게, 아일랜드 조리대잘 계획하고 시공한 주택이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가구의 종류와 디자인, 배치 등이 각 공간에 적절하지 않다면 그 공간 안에서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기 어렵다. 가구는 주택과 거주자 사이에서 안락한 주거생활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주거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나만의 개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