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도였던 건축주 박진국 씨는 오래 전부터 에너지 절약 주택에 남다른 관심이 있었기에 한치의망설임도없이3리터하우스를택했다. "대학 다닐 때 교수님이 늘 강조한 부분이 바로 쾌적성이었어요. 사람이 거주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말씀하셨죠. 훗날 건축과 관련된 일을 하다 에너지 절약 주택에 대해 알게 됐는데 단박에 제 마음을 사로잡았어요.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외부의 기온 변화와 관계없이 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 주는 점이 좋았죠."
3리터 하우스를 선택하다 건축주는 처음부터 3리터 하우스를 계획하고 적당한 시공사를 물색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작은 평수의 준 패시브하우스를 지을 수 있는 업체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한국패시브건축협회를 통해 ㈜풍산우드홈을 만났다. "풍산우드홈은 망설이지 않고 시공을 맡겠다고 했어요. 제가 건축을 전공해 세세한 것까지 신경 쓰는 바람에 힘든 점도 많았을 텐데 별다른 마찰 없이 일을 진행했어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까지 챙겨줘 생각보다 훨씬 더 좋은 주택이 탄생한 것 같아요."
1.5리터 이하의 패시브하우스가 아닌 3리터 하우스를 선택한 것은 주택디자인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연간 에너지 소비량 1.5리터를 구현하려면 건축물을 완벽하게 밀폐해야 하기에 박스형 디자인이 대부분인데, 3리터 하우스와 같은 준 패시브하우스는 인증 조건이 덜 까다로워 보다 입체적인입면구성이가능하다. 그래서 공간활용성을높일 수 있다. 실제 주택은 거실을 앞으로 길쭉하게 돌출시키고 뒤쪽 본채 부분에는 필로티를 만들어 주차장과 창고 등 여러 용도로 쓴다. 체감온도가 영하 10℃를 밑도는 날씨에도 실내 온도가 30.0℃에 고정돼있다." 요즘같이쌀쌀한날씨에도평소에는반팔을입고생활한다"는 박진국 씨의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꼼꼼한 설계로 3리터 하우스 요건 충족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실은 남동향에 배치했는데, 특이한 점은외부 블라인드 대신 남동향에 있는 세 개의 공간(1층 거실, 2층 자녀방, 2층 베란다) 외부에 구조물 차양을 설치한 것이다. ㈜풍산우드홈 김창근 대표는"여름과 겨울의 일사 각도를 파악해 차양을 설치했다. 차양 구조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해 적당한 채광을 확보할수있다"고 전했다. 단열재는 화재로부터 안전한 140㎜ 글라스 울을 중단열 공법으로 사용했으며, 외벽체에는 시공성이 우수한 비드법 보온판 150㎜를 적용했다. 이외에도 로이코팅 삼중 유리 PVC 유럽식 시스템 창호를 설치해단열 성능을 높였다. 한편, 생활하는 데 필요한 전기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3㎾p)으로 해결한다. 박진국 씨가 재택근무를 하기에 여러 전자기기를 씀에도 한 달평균 전기료는 고작 1만~2만 원. "기름보일러를 사용하지만, 평소에는 거의 틀 일이 없어요. 1년에 45만원 정도면 온수와 난방을 마음 놓고 쓸 수 있어요."
박진국 씨는 3리터 하우스 생활에 아주 만족한다. 전에 살던 아파트에서 딸 박예희(1세) 양이 피부병을 앓았는데, 이곳에 이사 오자마자 거짓말처럼 말끔히 나았다. 3리터 하우스를 통해 건강도 되찾고 에너지 사용량도 줄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박진국 씨는"에너지 절약 주택의 건축비가 굉장히 높을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고급주택을 짓는 가격이면 충분해요"라며"벽지나 창호 등의 부자재에 큰 욕심을 버리면 보다 저렴하게 지을 수 있어요"라고 조언했다.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