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기사 분류 > 전원주택 > 스틸하우스 외
[양산 스틸하우스주택] 아파트 3번 옮긴 끝에 지은 개구쟁이 집
2017년 11월 1일 (수) 00:00:00 |   지면 발행 ( 2017년 11월호 - 전체 보기 )

아파트 3번 옮긴 끝에 지은
양산 개구쟁이 집

무릇 살림집은 인간의 모든 생활을 지탱해 주는 기본 바탕이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고 쾌적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에는 거주자가 불안함과 불편함과 불쾌함을 느끼는 집이 적잖다. 그중 하나가 층간 소음으로 이웃 간에 불화가 발생해 법정 다툼을 벌이는 집이다. 과연 이러한 집은 살림집과 죽임집 중 어디에 가까울까. 김정우(49)·이윤진(47) 부부가 개구쟁이 외아들 도윤(8)이의 기를 살려주기 위해 마련한 양산 스틸하우스. 부산의 아파트에서 살던 때와 달리 아빠는 퇴근 후 귀가를 서두르고, 아이는 아빠의 손목을 잡고 놀이터인 다락으로 향하고, 엄마는 아이와 아빠가 다락에서 ‘쿵쾅쿵쾅∼’ 악기를 연주하는 소리에 함박웃음을 짓는 집. 양산 도윤이네야 말로 화목이 흐르는 진정한 살림집이 아닐까.

글 사진 윤홍로 기자
취재 협조 리담건축

HOUSE NOTE
DATA
위치 경남 양산시 물금읍 증산리
지역/지구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상대보호구역
건축구조 스틸하우스
설계기간 2017년 2월 ~ 3월 
공사기간 2017년 4월 ∼ 8월 
건축비용 3.3㎡당 540만 원
대지면적 205.90㎡(62.28평)
건축면적 77.70㎡(23.50평) 
건폐율 37.74%
연면적 137.52㎡(41.60평)
           1층 76.62㎡(23.18평)
           2층 60.90㎡(18.42평)
           최고높이 8.76m
용적률 66.79%
주차대수 1대
조경면적 10.30㎡(3.11평)
정화조 오·우수 분리지역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징크 
               외벽 - 스타코, 케뮤사이딩, 백벽돌
내부마감 천장 - 글루램
               내벽 - 실크벽지
               바닥 - 구정마루(1층 헤링본)
단열재 지붕 - 이소바 글라스울 R-32
            외단열 - 이소바 글라스울 R-21, 비드법 2종 1호
            내단열 - 이소바 글라스울 R-21
계단실 디딤판 - 멀바우
            난간 - 주물(좋은사람들)
창호 융기 독일식 시스템창호
현관 성우스타게이트
조명 공간조명, 비츠조명, 위즈테크 등
주방가구 한샘 키친
위생기구 대림
난방기구 경동가스보일러

설계 맥건축사사무소 070-7605-9646
시공 리담건축 1599-0380 www.ridam.co.kr
 
 
김정우·이윤진 부부는 늦게 얻은 개구쟁이 외아들 도윤이를 위해 7년간 부산에서만 아파트를 3번이나 옮긴 끝에 경남 양산 신도시 물금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에 스틸하우스를 마련했다.

“줄곧 부산의 아파트에서만 살았는데 태어날 아이를 위해 집을 넓혀 간 곳이 새로 지은 아파트 6층이었어요. 그런데 아랫집이 층간 소음에 너무 예민했어요. 친구들을 초대해 집들이할 때 잠깐 뛰었는데 인터폰이 울려댔으니까요. 그러다 보니 아이가 태어난 후에는 하루하루를 굉장히 불편하게 지냈어요. 그래서 해운대 신시가지 아파트 6층으로 이사했는데, 그때부터 아이가 뛰기 시작하면서 인터폰이 울려댔죠. 이거 안 되겠다 싶어 또다시 아파트 1층으로 이사하고는 ‘이젠 아이가 자유롭게 뛰놀아도 되겠구나’ 싶었는데, 이상하게 2층에서 인터폰이 오는 거예요. 결국, 우리가 갈 곳은 단독주택밖에 없다고 생각했어요.”


1층 평면도
 
부부는 부산지역에서 단독주택 부지를 오랜 기간 찾아다녔으나 과밀 지역이라 적지適地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지난해 말 선택한 곳이 물금택지개발지구 내 단독주택용지이다. 여기에는 경주 지진도 한몫했다고.

“생활 터전이 부산이다 보니 그곳에서만 줄곧 부지를 찾아다니던 중 아파트가 흔들리는 경주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여진이 계속 이어졌어요. 당시 아파트는 위험해서 못 살겠다, 서둘러서 단독주택 부지를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부산에서 가까운 이곳에 대지를 마련한 거예요.”

실에서 바라본 식당, 그 좌측에 주방이 자리한다. 거실과 주방/식당 바닥에 단을 두어 공간을 구분한 형태이다.
주방에는 주부의 가사 동선을 고려해 가구를 아일랜드형으로 배치했다. 식당과 마찬가지로 천장에 구조용 집성재를 노출시켜 포인트를 줬다.
주방 좌측의 포켓도어를 열면 다용도실이다.
1층에 현관과 계단실에서 가까운 곳에 분리 배치한 세면대와 욕실. 도로에 접한 외벽 상부에 장방형 고정창을 설치해 자연광을 끌어들였다.
욕실

개구쟁이의 안전한 놀이터
부부가 단독주택을 계획할 때 설계 및 시공사에 중점적으로 요구한 사항은 한 가지, 바로 ‘아이가 안전한 집’이다.

“단독주택 부지를 찾아다닐 때 부동산에서 아이가 장난치다가 소파에서 떨어져 머리가 찢어졌어요. 개구진 아이가 꽉 막힌 아파트에서 갇혀 지내다가 활짝 열린 단독주택에서 지내면 또 어떻겠어요. 그래서 우리 집에는 외부로 돌출된 난간과 베란다를 아예 없앴어요. 심지어 집 안에 소파와 침대도 들여놓지 않았는걸요.”


2층 평면도
 
양산 주택은 좌우로 긴 매스(23.18평) 위에 작은 매스(18.42평)를 뒤로 물리어 심플하게 올려놓은 형태이다. 이를 활용하면 단순 수치상으로 2층에 마당과 시선이 교차하는 5평 정도의 외부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2층에 배치한 안방과 아이의 방은 물론 가족실에도 외부 공간은 없다. 가족실의 경우 외부로 향한 벽면 창틀 하단에 선반을 설치하고 의자를 놓았을 뿐이다. 부부가 명랑하고 생기발랄한 아이를 위해 복층 단독주택에서 누릴 수 있는 일부 기능을 접은 것이다.
계단은 화이트 톤의 주물 난간과 챌판, 멀바우 디딤판이 조화로우면서 개방감을 주고, 각기 다른 높이로 벽면에 부착한 2개의 핸드 레일이 안정감을 준다.
안방과 아이의 방 사이에서 가족만의 모임 및 완충 공간 역할을 하는 가족실
2층 계단실 옆 분리형 세면대와 욕실

일조日照를 염두에 둔 공간 배치
양산 주택은 1층을 거실과 주방/식당, 다용도실, 화장실을 둔 접객 및 공용, 단란 공간으로, 그리고 2층을 부부와 아이의 방, 가족실, 화장실을 둔 가족만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한 구조이다. 복층임에도 요즘 일반적인 추세인 세대를 층으로 분리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향후 인접 필지에 주택이 들어서면 1층은 조망뿐만 아니라 일조에도 문제가 생기잖아요. 그래서 가족이 많지 않기에 1층은 다이닝 형태로 공간을 활용하고 2층에서 통상적인 생활을 하기로 계획한 거예요. 2층만큼은 사계절 밝은 햇살을 끌어들이면서 프라이버시도 확보하도록 적당한 높이에 알맞은 크기의 창을 냈어요. 안방에는 떠오르는 해를 보도록 코너 창을 내고, 법정 범위 내에서 최대한 고를 높여 만든 아이 방의 다락에도 1개의 작은 창과 2개의 천창을 냈어요.”
천장에 단을 두어 매립등을 설치하고 벽면에 코너 창을 낸 2층 안방
아이 방의 문을 열면 비행기 모빌과 그리스의 산토리니 그림이 먼저 반긴다.
아이 방의 안쪽에는 걸터앉기 딱 좋은 높이로 단을 두고 공부방을 배치했다.
공부방 우측 여닫이문 뒤에는 다락으로 향하는 계단이 숨겨져 있다.


1층은 거실과 주방/식당의 경계에 단을 두어 공간을 구분한 형태이다. 아파트에서만 줄곧 생활해온 부부는 디자인이 만족스럽다고.

“리담에서 지은 증산 1, 증산 2 주택을 둘러보면서 거실과 주방/식당 사이에 레벨 차를 둔 게 신선하게 다가왔어요. 이것이 리담의 색깔인가 보다 생각해서 받아들였는데 거실이 한결 넓어 보이고 식당은 카페 같은 느낌이 들어서 좋아요.”

1층에는 현관과 계단실에서 가까운 곳에 귀가 후 또는 식사 전에 사용하기 편한 개방형 세면대가 있다. 그리고 현관이나 거실에서 보이지 않는 세면대 우측에 공용 화장실을 배치해 두 명이 동시에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추억이 쌓이는 보물창고, 다락
1층과 2층을 잇는 계단실은 일자형으로 화이트 톤의 주물 난간과 챌판, 멀바우 디딤판이 조화로우면서 개방감을 주고, 각기 다른 높이로 벽면에 부착한 2개의 핸드 레일이 안정감을 준다. 낮은 높이의 핸드 레일은 아이의 안전을 위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2층은 가족실을 사이에 두고 안방과 아이의 방을 좌우로 분리한 구조이다. 2층의 압권은 좌측 아이 방의 이벤트 공간으로 꾸민 공부방, 그리고 그 안쪽에 숨겨진 계단에서 통하는 비밀의 공간인 다락방이다. 현관에서 계단실, 아이 방, 계단, 다락으로 이어지는 동선이 마치 어릴 적 갖고 놀던 바람개비를 돌리는 듯하다. 바람개비처럼 돌면서 마치 보물찾기하듯이 오르다 보면 나뭇잎이 달린 나무줄기, 비행기 모빌, 그리스 산토리니 그림, 그리고 정점인 다락에 다다르면 천창에 환한 햇살이 모습을 드러낸다. 부부 역시 공부방과 다락을 획기적인 공간으로 꼽는다.

“거실과 가족실보다 아이 방 한쪽에 걸터앉기 편한 높이로 만든 공부방과 다락에서 아이와 함께 지내는 편이에요. 아파트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공간이라 그런지 아이가 무척 좋아하고요. 아이 방의 상부에만 다락이 있어서인지, 차음이 잘되어서인지 아이가 친구들을 데려와 다락에서 맘껏 뛰어도 다른 공간에서는 그것을 느낄 수 없어요. 다락에서 노는 아이를 볼 때마다 아파트에서 탈출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 아이에게 다락은 안전한 놀이터이자, 새록새록 추억거리가 쌓이는 보물창고 같은 곳이에요.”
법정 범위 내에서 최대한 고를 높여 만든 아이 방의 다락에 1개의 작은 창과 2개의 천창을 냈다.
 

신도시에 조성한 블록형 단독주택지의 경우 면적이 작은 데다 더욱이 도로를 제외한 삼면이 이웃 필지에 접한다면, 주택의 배치에 있어 선택의 폭은 그다지 넓지 않다. 수평적으로 법정 건축선과 건폐율을 지키면서 주차 면적까지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양산 주택이 장방형 매스를 남쪽을 향하도록 북쪽에 바짝 배치하고, 도로에 면한 서쪽에 대문과 주차장, 현관을 배치한 이유이다. 입면은 모던하고 심플하면서 징크 패널을 덮은 상부의 박공지붕과 중간 벽에 물린 눈썹지붕이 입체미를, 외장재인 화이트 톤의 스타코 플렉스와 벽돌, 다크 그레이 톤의 세라믹 사이딩이 조화미를 자아낸다. 또한, 도로와 현관이 근접해 있어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해 현관 앞에 반가 한옥의 내외담처럼 쌓은 담이 돋보인다.

도로와 현관이 근접해 있어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해 현관 앞에 담을 쌓았다.

*
양산주택의 외벽에는 시공사에서 포도송이 그림과 함께 ‘Settled here to build a happy family.’란 문장을 그려 넣었다. 부부가 아파트를 3번 옮긴 끝에 개구쟁이 아이가 기를 활짝 펴고 지내도록 지은 단독주택, 그래서인지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이곳에 정착했다.’는 문구가 너무나도 잘 어울린다. 부부는 “아파트에서는 층간 소음으로 이웃에 불편을 줄까 봐 노심초사했는데 단독주택에서는 층간 소음에서 자유로워서인지 마음이 한결 여유롭다”고 한다. ‘사람이 집을 만들고, 집은 사람을 만든다’는 어느 대형 서점의 카피를 모방한 문구가 문뜩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모름지기 인간 생활의 기본 바탕인 집의 기능이 책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부족하지 않기 때문이지 않을까.

시공사에서 외벽에 포도송이 그림과 함께 그려 넣은 ‘Settled here to build a happy family(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이곳에 정착했다)’는 문장을 통해 가족이 왜 단독주택을 짓고 이주했는지 알 수 있다.
입면은 모던하고 심플하면서 징크 패널을 덮은 상부의 박공지붕과 중간 벽에 물린 눈썹지붕이 입체미를, 외장재인 화이트 톤의 스타코 플렉스와 벽돌, 다크 그레이 톤의 세라믹 사이딩이 조화미를 자아낸다.

<Country Home News>

인쇄하기   트윗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태그 : 스틸하우스양산주택단독주택리담건축
이전 페이지
분류: 스틸하우스 외
2017년 11월호
[스틸하우스 외 분류 내의 이전기사]
(2017-10-01)  [진해 스틸하우스] 천의 얼굴을 담다, 바리우스VARIUS
(2017-10-01)  [양평 ALC 주택] 원형 동선으로 아기자기하게 꾸민 화이트하우스
(2017-08-01)  [익산 ALC주택] 프라이버시 확보가 돋조이는 주택
(2017-06-01)  [양산 스틸하우스] 신도시 역섹둰 모던 스타일 양산 스틸하우스
(2017-06-01)  [6월호 특집] 03. 74.94평 주택 연간 에너지비용이 82만 원, 성남 2.2L 패시브하우스
[관련기사]
『2024년 01월』 CONTENTS JANUARY 2024 Vol.298 (2024-01-01)
【2023년 12월】CONTENTS December 2023 Vol.297 (2023-12-01)
【2023년 11월】CONTENTS NOVEMber 2023 Vol.296 (2023-11-01)
【2023년 10월】CONTENTS October 2023 Vol.295 (2023-10-01)
【2023년 09월】CONTENTS September 2023 Vol.294 (2023-09-01)
【2023년 08월】CONTENTS August 2023 Vol.293 (2023-08-01)
【2023년 07월】CONTENTS JULY 2023 Vol.292 (2023-07-01)
【2023년 06월】CONTENTS June 2023 Vol.291 (2023-06-01)
【2023년 05월】CONTENTS MAY 2023 Vol.290 (2023-05-01)
【2023년 04월】CONTENTS April 2023 Vol.289 (2023-04-01)
전원주택 (5,630)
황토 (336)
목조/통나무 (997)
철근콘크리트 (484)
스틸하우스 외 (306)
건축정보 (1,654)
설계도면 (458)
동영상 (462)
전원주택단지 (120)
특집/기타 (813)
펜션/카페 (241)
전원생활 (908)
정원 (312)
월별목차 (40)
분류내 최근 많이 본 기사
[울산 경량 철골구조] H빔과...
[양산 스틸하우스주택] 아파...
[자연에 묻힌 집] 사방으로 ...
루버로 내부 마감한 59평 2층...
[포천 컨테이너주택] 단순 명...
골프장에 지은 86평 2층 스틸...
자연을 집 안으로 한껏 들인...
【HOUSE STORY】 부모님 건강...
어릴 적 꿈을 실현시킨 청도...
구조미 돋보이는 산뜻한 34...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